개발자들이 특히 많이 사용하는 Jira라는 애자일 관리 도구를 살펴보려고 해요.
그리고 이번에 배운 '애자일의 12가지 원칙 중 어떤 부분을 Jira에서 실천할 수 있는지도 생각해보았습니다.
1. 애자일의 12가지 원칙
제1원칙: 초기부터 지속해서 고객 만족
가치(value) 있는 소프트웨어를 초기부터 지속해서 제공(배포)함으로써 고객을 만족시키는 것
제2원칙: 요구사항 변경 수용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개발 후반부에 변화하는 요구 사항의 수용에 개방적으로 반응할 것
제3원칙: 짧은 배포 간격
소프트웨어를 짧은 주기로 배포하여 조금씩 검증하는 것이 필요
제4원칙: 함께 일하기
비즈니스 담당자, 메이커 등과 함께 협업해서 일하는 것 명심하기
제5원칙: 동기 부여된 팀원들로 프로젝트팀 만들기
함께 일하는 동료들이 동기부여될 수 있도록 필요한 환경과 자원을 제공하가
제6원칙: 얼굴 보고 대화하기
얼굴 보고 대화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다.
제7원칙: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 진도 측정
많은 기능을 완벽하게 개발하기 보다는 하나의 기능을 먼저 완벽하게 구성하여 검증해라
제8원칙: 지속 가능한 개발 속도 유지
스폰서, 개발자 및 사용자는 일정하게 일정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함
제9원칙: 좋은 기술, 설계에 관심
우수한 기술과 우수한 디자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서 발전해나가기
제10원칙: 단순성
단순성은 필수적입니다.
제11원칙: 자기 조직화 팀
의사결정권자가 팀 내에 회의에 함께하여 효과적으로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제12원칙: 정기적으로 효율성 제고
정기적인 회고를 통해서 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 적용해보기
Jira
사실 이전에도 지라를 조금 살펴본 적이 있었는데 아무래도 처음 만져보는 툴이기도 하고, 개발자가 아니다보니 여러모로 어렵더라구요. 이번 기회에 다시 Jira를 살펴보게 되니 약간 긴장도 되고 그랬어요 ㅋㅋ
다시 만들어보니, 추천에 따라서 기본적인 템플릿은 만들어져 있는지 간단한 설문조사후 자동으로 세팅되었어요.
처음에 어느 정도 자주 사용되는 템플릿을 바탕으로 구성해주니 한결 편했습니다.
제2원칙: 요구사항 변경 수용 & 제10원칙: 단순성
이렇게 백로그의 세부 내용을 관리할 수 있는 항목이 있더라구요.
백로그나 스프린트를 작성하는 부분이 하나의 페이지가 아니라 일종의 채팅 형식으로 제시되어 있어서 단순하게 이슈들을 정리하기가 좋은 것 같습니다. 또 백로그나 스프린트가 '해야할 일', '진행중', '완료'로 진행 상황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보드'에서도 할 일, 진행중, 완료된 Task들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고요. 그래서 중간에 요구사항의 변경으로 인해 전체적인 프로세스가 변경되더라고, 현재 진행중인 내용의 순서를 뒤로 보내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우선적으로 진행하기도 편해보였습니다. 기존에 작업하던 Task들을 굳이 삭제하지 않더라도 '진행중'에서 다시 '할일'로 보내고 새로운 요구사항들을 받아서 '진행중'으로 이동하면 되니깐요.
제4원칙: 함께 일하기 & 제5원칙: 동기 부여된 팀원들로 프로젝트팀 만들기
또한 각각의 업무 담당자를 할당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자신이 책임을 다해야 하는 업무들이 더 명확해지고, 이를 바탕으로 업무 진행에 있어서 동기부여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또 어떤 사람에게 더 많은 이들이 할당되는지 살펴보면서 조절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이네요.
제3원칙: 짧은 배포 간격
스프린트를 시작하게 되면 기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애자일하게 업무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짧은 주기마다 배포를 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관리가 중요할텐데요. 지라에서는 각 스프린트마다 진행 기한을 설정할 수 있어서 이런 일정 관리 부분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도담한 Product Manager 성장기 > 내맘대로 분석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럼 가이드 뜯어보기 [W8D2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 2022.06.30 |
---|---|
'타입스(Types)'의 백로그를 관리한다 가정해보자 [W8D1&3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 2022.06.29 |
'당근마켓 관심목록 추가' 가능 다시보기 [W7D4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 2022.06.28 |
카카오톡 Open API 살펴보기 [W7D3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 2022.06.24 |
모바일 웹 vs 웹 앱 vs 하이브리드 앱 vs 네이티브 앱 [W7D2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 2022.06.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