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블랙키위라는 프로덕트를 가져와봤어요!. 키워드를 기반으로 다양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볼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블랙키위의 핵심 기능을 정의해보기
블랙키위는 키워드 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분석' 기능이 가장 핵심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웹사이트에 들어가면 홈의 가장 중간에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바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분석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입력한뒤 Enter 를 누르면 입력한 키워드와 관련한 분석 결과를 보여줍니다.
키워드 분석 외에도 다양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단 홈에 제공하고 있는 '키워드 분석'이 가장 메인이 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홈 중간에 크게 제공하고 있다고 생각돼요. 그래서 '키워드 분석'을 핵심 기능이라고 정의하고자 합니다.
핵심기능이라고 하기에 어떨지 모르겠지만 수익을 확보하는 부분이 매우 중요하므로 멤버십 구독을 하는 기능 또한 중요한 기능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래서 같이 넣어봤어요!
핵심 기능이 사용자들에게 만족스러운지 알기 위한 지표는 무엇일까?
GA를 통해 해당 지표를 측정하려면?
앞서 언급한 기능, 즉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한 뒤 분석 결과가 나오는 페이지입니다.
일단 블랙키위는 전에 분석했던 썸트렌드와 비슷하게 대부분의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상당히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들이 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한다고 할 때,
분석 결과가 마음에 드는지, 이 기능을 충분히 잘 사용하고 있는지 측정함으로써 확인해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분석 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보려면 이탈률과 페이지 체류시간을 통해서 알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GA에서는 '화면 깊이(Scroll Depth)'의 따라서 이탈률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해당 페이지에 유입된 사용자가 페이지 스크롤을 어디까지 내려보았는지, 얼마나 많은 사용자들이 어느 정도로 스크롤을 내렸는지 알 수 있습니다.
스크롤을 끝까지 내리지 않고 상단의 일부만 내리고 빠르게 이탈한 사용자들은 분석 결과가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기 때문에 그런 행동 양식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용자들이 정말 너무나 많다면 분석 결과 화면이나 제공되는 분석 기능 개선이 필요할 것이라 판단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사용자들의 구매 전환, 즉 유료 구독이 수익을 창출하고 프로덕트를 지속적으로 서비스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유료 구독으로의 전환을 높이기 위한 방법 또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모색해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기능들이 무료로 이용 가능하지만 일부 기능들은 한정적으로 유료 구독을 할 때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면 어떠한 기능을 사용하다가 유료 구독을 생각하게 될까, 어떤 지점들에 유료 구독에 관심을 갖게 될지 그 경로에 대해 파악을 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고객들에게 유료 구독을 어필하고 있는 프로덕트 내의 특정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면 더 많은 유료 구독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그 점에 대해서 더욱 확실하게 강조할 수 있을테니깐요.
이 부분이 맞는지 모르겠지만! GA에서 전환되었을 경우 어떠한 경로로 유입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있더라구요. 이처럼 '멤버십 구독하기' 페이지까지, 그리고 결제 단계까지 도달했을 때 어떤 페이지에서 어떤 버튼을 눌러 접근하게 되었는지 그 경로들을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도담한 Product Manager 성장기 > 내맘대로 분석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ckstarter의 데이터 바탕으로 크라우드 펀딩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해보기 [W6D4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 2022.06.21 |
---|---|
'콜렉티브', 린 분석해보기 [W6D3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 2022.06.19 |
'당근마켓 관심목록 추가' 가능의 Behind에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W6D1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 2022.06.15 |
Hot해 Hot해, '타입스(types)'가 지금의 열기를 지속하기 위해서 해야할 A/B테스트 [W5D3&4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0) | 2022.06.12 |
[W5D2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AARRR을 바탕으로 썸트렌드 분석해보기 (0) | 2022.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