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담한 Product Manager 성장기/내맘대로 분석 모음

내가 생각하는 Product Manager [W1D1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by 도담한 2022. 5. 9.

부트 캠프의 첫 날이 밝았습니다!

PM이라는 직무에 대해서 그 동안 찾아보고 생각해봤던 내용들을 정리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변화하는 환경과 사람들을 product에 반영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공부해야 하는 직무이니 만큼

이 시간을 통해서 스스로 공부하고, 공부한 것을 적용하고, 생각하는 힘, 그리고 이런 좋은 습관을 만들어나가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렇다면..

 


1. Product Manager란 무엇인가

PM이라는 직무가 어떤 회사에서, 어떤 서비스를 운영하고 기획하는지에 따라서 하는 일이 천차 만별이다보니 저는 채용 공고를 자주 살펴보는 편인데요. 

 

이번 상반기에 뜬 몇 가지 채용 공고를 살펴보면서 PM이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인지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기업 이름
(주) 트릿지
직무 명 Product Manager Operation
Planning Manager
PM(Product Manager) Product Manager
업무(JD) - LINE 메신저 및 패밀리 서비스의 목표 정의, 문제 진단, 해결 전략 도출
- 분석/기획/출시/운영/개선 업무 등을 통해 서비스의 성장 및 비즈니스 임팩트를 리딩 
- 개발, 디자인, 마케팅 등의 유관 부서와 공통된 합의를 도출
- LINE 내부 백오피스 시스템 기획/운영 업무
- 레이블 번역/관리 플랫폼, 모니터링 플랫폼의 기획 및 개선과제 진행
프로덕트의 당면 문제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더 나은 가치를 주기 위한 여러가지 솔루션을 제안합니다.
- 고객의 불편사항 등 프로덕트의 당면 문제를 파악해요.
- 문제에 대한 다양한 가설을 수립하고 솔루션을 제시해요.
- 문제에 대한 가설과 솔루션에 따른 데이터를 검증해요.
- 제품 정책과 방향성에 대해 정의해요.
- 프로토타이핑부터 실제 서비스 런칭까지 다양한 부서와 소통해요.
-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집하고 백로그(개선안)를 준비해요.
 Senior Product Manager 와 긴밀하게 협업하면서 프로덕트 전략수립과 서비스 기획을 함께 보조합니다.
- 사업 개발 및 영업, 디자이너, 엔지니어 등 모든 유관 부서와 주도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며 원활한 협업을 돕습니다.
- Tridge Intelligence 제품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파악하여 execution plan 제안를 담당합니다.
- 인텔리전스 서비스 및 유사 서비스에 대한 리서치를 수행합니다.
- Tridge Intelligence 제품의 enterprise sales를 지원하면서 유저 피드백과 인사이트를 취합 및 관리합니다.
- 사용자 유입 (Acquisition) 과 리텐션 (Retention), 매출, 고객 만족도 등 전체 Funnel에 걸쳐 구체적이고 달성 가능한 지표에 대한 관리, 분석을 수행합니다.
자격 요건 -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인사이트와 아이디어가 풍부하신 분
-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개선 및 문제 해결 능력이 뛰어나신 분
- 새로운 트렌드에 대해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관심이 많으신 분
-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적인 마인드를 갖추신 분
- 웹 기반 플랫폼의 서비스 기획/운영 업무에 관심이 많으신 분
- 데이터 기반의 문제 분석 및 해결 능력이 뛰어나신 분
- 개발/디자인/해외 법인 등 유관부서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신 분
 
-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와 이해도가 높은 분
- 서비스 또는 앱 사용자로서의 불편사항을 체계적으로 이야기하고, 해결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분
- 비효율적인 방법이나 과정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분
- 계획과 일정관리를 통해 체계적인 목표 달성 노력을 해 본 분
- 더 좋은 결과를 내기 위해 적극적으로 협업하고 커뮤니케이션 하는 분
- 우수한 논리적/입체적 사고력과 문제의 추상화 능력을 가지신 분
- 스스로 높은 수준의 Discipline을 유지하시는 분 (스케줄 관리, 현황 공유 등)
- 업무 성취에서 높은 보람을 느끼는 분
- 데이터에 기반한 문제해결 능력을 갖추신 분
- 시스템 기획에 대한 관심이 있으신 분
- 영어로 기획안, 데일리 커뮤니케이션, 프레젠테이션, 이메일 작성 등이 자연스러운 분
우대 조건 - 외국어로 업무 진행이 가능하신 분 (영어, 일본어 중 1개 이상) - 외국어로 업무 진행이 가능하신 분 (영어, 일본어 중 1개 이상) - 데이터 분석과 활용을 통한 서비스 기획에 관심이 있는 분
- 프로그래밍, UI/UX 등 프로덕트 구현에 필요한 지식을 보유한 분
- 공모전, 토이 프로젝트, 해커톤 등을 통한 고객 문제 파악 및 솔루션 제시 경험이 있는 분
- 디자이너, 개발자 등과 협업하여 제품 개발을 리드해 본 경험이 있는 분
- 사용자 리서치에 참여 또는 직접 설문조사를 진행하며 고객 분석 프로세스를 경험해 본 분
- 전략컨설팅과 엑셀러레이터 인턴 경험이 있으신 분
- 창업 혹은 작은 스타트업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으신 분
출처     https://career.woowahan.com/ http://saram.in/s/yr0835bWK

Product Manager는 굉장히 다양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나름의 기준대로 공통된 업무를 묶어봤는데요, 색이 굉장히 알록달록하네요.

 

연차에 따라 얼마나 큰 범위의 혹은 얼마나 작은 범위의 일을 하는지는 조금씩 달라지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일들을 하는 직무입니다. 

 

1. Product의 목표와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실무를 수행하는 사람

회사의 전체 Business 전략에 기반하여 제품의 Life Cycle을 생각하고, 이를 기반으로 세부 Product 전략을 기획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한 마디로 Product의 목표, 정책, 방향성 등을 정의하는 일입니다. 

일부 전략 기획 쪽과 겹치는 부분도 있기도 하고, 굉장히 큰 단위의 비전은 시니어 PM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작은 단위의 기능 같은 경우에도 Product의 전체 방향성에 적합한 목표를 세울 수도 있겠습니다!

 

2. 다양한 부서와 소통하면서 공통된 합의를 이끌어내는 사람

즉, 실제 제품으로 구현하기 위해서 하나의 일치된 목소리를 도출해내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디자이너와 개발자 등 제품화 단계에서 해당 업무를 수행할 수도 있고, Sales나 마케팅 혹은 전략 기획 부서와 같이 Business 측면에서 필요한 개선 사항에 대해서 합의하는 업무를 할 수도 있습니다. 

각각의 부서가 서로 상반된 요구사항을 제안하는 경우도 있거든요 :)

 

3. 새로운 기능이나 프로덕트를 기획하거나 개선하는 업무를 수행

이렇게 기획을 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사용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야 하니까

사용자 리서치나 고객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고,

이게 정말 우리가 Target으로 하고 있는 고객군들 모두가 겪고 있는 문제인가,

이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제안한 솔루션을 데이터로 검증하는 것입니다.

각 분야의 Specialist들을 설득하기 위해 모든 것들을 동원하는 작업을 하는 거죠!

 

완전 새로운 기획을 할 때도 있지만, 이미 제품이 출시가 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들을 개선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실제 출시된 후에 우리가 생각한 문제 해결 방향성이 올바른지도 검증할 수 있겠죠!

 

즉, Product Manager는 Generalist입니다.

 

제품 전략에서부터 제품화, 그리고 그 이후의 운영, 관리, 개선까지 모든 업무를 수행하고,

각 전문 인력들이 하는 일들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서포트하는 모든 일을 수행합니다. 

모든 잡다한 일은 다 하는 존재... ^^

 

막 엄청난 것을 제안하고 기획하는 일을 할 거 같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그냥 웬만한 것들 다~ 하는 담당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번외로 수업을 듣다가 나온 꿀팁인데

채용 공고를 볼 때, 사람이 부족해서 채용 공고를 냈을 거잖아요 :)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니 JD를 이렇게 냈구나!"라고 생각하면서 보면 또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을 거 같아요.

 

 


2. Product Manager의 업무 역량

 

앞서 공고에서 살펴보았던 내용과 함께 살펴보았을 때,

PM의 업무 역량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커뮤니케이션

PM은 결국, 나의 팀에 소속된 사람들이나 다양한 부서의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하는 직무입니다.

여러 사람들과 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한 것이죠.

하지만 '커뮤니케이션 역량'이란 굉장히 포괄적인 단어다 보니까 구체적으로 정의하기가 어렵습니다.

 

핵심은 "설득"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기획이 실제로 구현되어야 한다고 협업자들을 설득하기 위해서
근거를 제시하는 부분에 있어서 여러 데이터 분석 관련 Skill이 필요한 거고,
PPT나 Pigma 등의 툴 사용을 할 수 있으면 좋은 거랍니다.

그리고 간결하고 명확하게 핵심을 전달할 수 있는 '글쓰고 말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디테일하게 달라지는 부분은 "PM으로서 일하고 싶은 회사 혹은 서비스가 어떠하냐"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Target 시장과 고객이 한국이냐 글로벌이냐에 따라서 '외국어' 능력이 요구될 때도 있습니다. 

 

 

2) 분석력과 문제 해결력

PM은 결국 우리 Product를 더 발전시키는 존재인데요, 
이를 위해서 문제를 발견하고 정의하는 능력, 그리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즉,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게 생각을 간결하게 정의하고, 현실적으로 반영이 가능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리소스 관리

PM의 가장 중요한 것은 무사히 Product가 제품화가 되도록 관리하는 부분인데요.

이를 위해서 전체 일정을 관리하는 Project manager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를 위해서 지금 내가 가진 시간, 능력 내에 어느 정도 해낼 수 있는가를 면밀하게 파악하고 적절히 분배해야 하고,

제품 구현에 있어서 다른 담당자들이 어느 정도 업무 수행을 해낼 수 있을지 파악하고 분배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어느정도는 경험치로 알 수 있는 부분이니 업무를 수행하면서 차차 쌓아나가면 될 것 같아요.

 

 


3. 내가 되고싶은 Product Manager의 모습

굉장히 유명한 그림이죠?

코드스테이츠 강의에서는 PM이란 "이 세 가지 그룹의 모든 것을 고려해서 중간 관리자로서 함께 만들어가야 할 것을 기획할 줄 아는 사람"이라고 정의 내리고 있습니다.

또다른 말로는 [함께 만들어야 할 것]을 기획함으로써 [사업가치]와 [고객 가치]라는 결과를 창출하는 책임을 지닌 사람이기도 합니다.

 

좋은 Product Manager란
"하나의 큰 비전과 방향성을 바탕으로 내외부에서 만족할 수 있는 Product를 완성해갈 수 있는 사람"
이라고 정의내리고 싶습니다. 

 

디지털 Product는 완성본이 존재할 수 없는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완성된 모습을 갖추려고 이리 고치고 저리 고치며 시간이 지나는 순간, 해당 트렌드가 지나가고 어찌 보면 한물 간 서비스가 되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뜯어고친 완성본이 실제 사용자들이 원하던 서비스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이런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디지털 Product들은 어찌 보면 '덜 완성된 채'로 시장에 나오게 됩니다. 

 

초기의 간단한 Product의 모습에서 고객들의 요구에 맞춰서 점점 더 발전해나가는 모습을 갖춰나가는 거죠.

 

따라서 올바른 방향으로 Product가 발전되고, 존속되기 위해서는 Balance를 유지하는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사용자들이 원한다고 해서 그 모든 것을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춰 Product를 바꿔간다면 이도저도 아닌 모습이 될 수 있고, 너무 회사, 즉 Business의 중심만 고집한다면 시장의 트렌드에 뒤떨어져 어느 순간 사라지게 됩니다. 

 

이것의 중심을 잡는 사람이 바로 Product Manager라고 볼 수 있습니다. 

 

Product의 Life Cycle을 기준으로 시장의 요구에 맞는 큰 방향과 그 정체성을 제안할 수 있는 사람.

이에 알맞은 소비자들의 요구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

그리고 분석한 내용이 정말 맞는지 검증하고 이해 관계자들을 설득할 수 있는 사람.

분석한 내용에 적절하면서 WOW를 외칠 수 있는 Product 개선안/기획안을 생각해낼 수 있는 사람.

이를 실제 시장에 내놓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고 조율할 수 있는 사람.

 

이렇게 PM으로서의 중요한 역할들이 많이 있지만

출처: Max Bennett(2017)

 

앞으로 올바른 방향성을 바탕으로 Outcome Thinker로서 솔루션을 제안할 수 있는

그런 PM으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려고 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아티클>

What is a Product Manager? Roles and Responsibilities

Great Product Managers are “Outcome Thinkers”

What, exactly, is a Product Manage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