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스테이츠37 '와디즈', Design Thinking Process로 분석하기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와디즈, 오목조목 따져보고 조각조각 분해해보자 와디즈라는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이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나 인터넷을 사용하여 일반 개인으로부터 투자 자금을 모으는 방식을 일컫는 말입니다. 와디즈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곁들여 설명하자면 판매자 혹은 생산자인 메이커(Maker)가 제안하는 프로젝트를 보고, 소비자이자 개인 투자자인 서포터(Supporter)가 제품화를 할 수 있도록 후원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와디즈는 이런 메이커와 서포터를 중개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죠. 여기서 와디즈(Wadiz)라는 단어는 '사막의 강'을 의미하는 아랍어, Wadi에서 따왔다고 해요. "사막 같은 자본시장에 하나의 물줄기를 내보내겠다"는 일념을 담았다고 합니다. 몇.. 2022. 5. 22. [W2D4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사방넷 역기획하며 새로운 가치 창출해보기 OMS(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이라고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다수의 쇼핑몰과 오픈마켓을 운영할 때 이용하는 솔루션입니다. 오늘 가볍게 역기획을 해 볼 '사방넷'이 바로 이 OMS 중 하나인데요! 사방넷을 어떻게 기획하게 되었을지 차근차근 분석해보고, CVC(고객 가치 사슬)을 기반으로 창출할 수 있는 또다른 기회는 없을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1. 사방넷, 누가 사용할까요? 3개 이상의 온라인 쇼핑몰 혹은 오픈마켓에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는 셀러 출처: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20대 온라인 창업 플랫폼으로..72% 증가, "치킨집 미래 없다" 온라인창업 몰린 2030 점점 이커머스 시장을 커지고 있고, 더 많은 사람들은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입하고 있습니다. N잡이 유행하고 있으며, 온라인 쇼핑몰은 소.. 2022. 5. 19. SSG.COM의 사용자 경험 들여다보기(Feat. 인터뷰) [W2D3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코로나가 발발하면서 특히 온라인 장보기로 SSG.COM 많이 사용하고 있죠? 저도 종종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쓱닷컴의 대표적인 서비스가 쓱배송인데요 매우 잘 설계된 프로덕트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언제나 완벽한 서비스는 없다고 생각하는데,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겪는 불편함은 뭐가 있을까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인터뷰 설계 목적 : 식품 구매 과정에서, 그리고 '쓱배송' 이용 과정에서 불편함은 어떤 것이 있는지 확인 쓱닷컴이라고 하면 신선 제품 구입을 많이 떠올리는데요, 물론 다른 분야에서도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지만 실제로도 '식품' 판매가 절반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어요. 그래서 '식품 종류를 구입하는 사용자들'이 주 타깃 고객이 될 것 같아요. 오늘 진행할 인터뷰는 가설이 있고 검증하려고 .. 2022. 5. 18. 카카오페이지, 언제 그리고 왜 사용하게 되는 걸까? (feat. JTBD) [W2D2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사실.. 저는... 카카오페이지의 찐 헤비 유저랍니다..(덕밍아웃) 웹소설계의 시조새..라고 할까요. (주로 소비하는 장르는 로판과 로맨스. 판타지 쪽도 자주 기웃거립니다. 사실 전반적인 전개 방식이랑 내용이 흥미롭기만 하면 장르는 특별히 안 가리는 것 같아요.) 기다리면 무료라는 무료로 충분히 즐길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임에도 매달 일정 금액 이상 사용하고 있고, 카카오페이지를 거의 매.일. 이용한지 근 6년은 된 것 같아요. 이렇게 찐 헤비유저 찾기 힘들테니까.. 저를 대상으로 카카오페이지를 이용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살펴보려고 합니다. 막간의 소개, 카카오페이지는 어떤 서비스인가? 비즈니스 모델: 기다리면 무료 현재의 웹툰/웹소설 콘텐츠의 활발한 소비를 일으킨 '기다리면 무료'라는 비즈니스 .. 2022. 5. 17. 디자인 씽킹과 퍼소나 중심으로 '올웨이즈'에 솔루션 제안하기 [W2D1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2022년 신생 이머커스로 떠오르고 있는 올웨이즈 카카오 톡딜, 심쿵할신(제이슨그룹)과 같은 공동구매 형식의 커머스 플랫폼입니다. 중간의 유통마진을 줄이고 그 혜택을 소비자에게 돌려줌으로써 파괴적으로 저렴한 가격 구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올웨이즈를 서비스하고 있는 레브잇의 강재윤 대표님의 인터뷰를 보면, 올웨이즈는 모든 인류가 공통적으로 원하는 갈망인 '낮은 가격'을 핵심으로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의 '판둬둬'라고 하는 서비스를 모델 삼아서 Price(가격)이라고 하는 요소를 집요하게 파고있습니다. 양파를 100원에 팔아 유저 바이럴을 불러일으키고, 이렇게 저렴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는 입소문, 즉, SNS 상의 공유글을 발견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유입.. 2022. 5. 16. [0509-0513 회고 기록] W1 일주일 돌아보기 글 쓰는 건 참 어렵다. 매번 글 써야지 써야지 하면서 못했던 건, "남들에게 보여줄 만큼의 글을 쓸 수 있을까? 조금 더 시간이 지나고 해야지" 하고 미루고 이루지 못할 완벽함을 갈망해서 시작조차 못해봤던 데에 있었던 것 같다. 생각이 너무 많은게 어찌보면 내 행동의 동력을 깎아먹는 셈이다. 덜어내려고 노력해도 어느 순간 한 줌 남아있는 나의 완벽주의 때문에 잘 못하는게 하나 더 있다. 바로 계획. 매번 내가 할 수 있는 양을 넘어선 내용을 계획하는데 체크리스트의 절반도 해결하지 못한 목록을 남은 건 언제 하나 막막함이 몰려오곤 한다. 그래서 세부적인 계획보다 뭉탱이로 계획을 잡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렇게 하다보니 또 놓치는 일이 생기고 딜레마다. 예전에 계획이 어려우면 내가 했던 일들을 정리해보라는 .. 2022. 5. 13. 성장하는 라이브커머스 시장 속 Grip이 살아남으려면 [W1D4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어제 Grip이라고 하는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에 다루었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라이브커머스는 라이브 스트리밍 기술과 전자상거래(E-commerce)가 결합된 합성어입니다. 즉, 직접 매장에 가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제품을 영상을 통화 보고 체험한 다음 구입할 수 있는 것이죠. 관련한 시장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조사하고 분석해보았어요. 1. 라이브커머스 시장규모 코로나로 인해서 전세계적인 온라인 거래량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동이 제한되고, 사람과 사람 간의 대면이 지양되었기 때문에 온라인으로 많은 소비활동이 이루어진 결과입니다. 하지만 직접 물건을 보지 않고 사진이나 텍스트만으로는 내가 원한 형태인지, 기대하던 품질인지 확실히 알기가 어렵습니다. 이에 영상으로 제품의 상태를 생생하게 살펴보고 구입할 수 있.. 2022. 5. 12. Grip이 가진 Product 전략 파헤쳐보기 [W1D3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오늘은 전략이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Mission과 Vision, 그리고 Strategy(전략)은 비슷해보이지만 어느 정도 상하 관계가 있습니다.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무엇이고 어떤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해줄 것인지 미션을 정한 다음 (모호하고 웅장한 단어로 되어 있어요.. 지구 최고가 된다~) 앞서 정한 미션을 정하면서 정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무엇인지 비전을 정합니다. (반면 지향점이 보이는 편. 미션과 얼라인/일치 되어 실체에 가까움) 그리고 비전이라고 하는 목표를 가장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법, 즉 전략을 구축하는 순서입니다. 미션과 비전의 개념에 대한 참고: https://acquiredentrepreneur.tistory.com/29 이렇게.. 2022. 5. 11. 클로바노트는 어떤 Product Development Lifecycle을 가지고 있을까 [W1D2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PD Life Cycle 고객들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솔루션을 기획하고 제품화를 해야 하는 것은 Product Manager의 숙명입니다. 이를 위해서 PM은 언제나 기본적으로 5가지 개념 단계를 중심으로 하는 PD Life Cycle(제품 개발 생애주기)를 고려해야 합니다. 기획해낸 솔루션의 시작부터 출시 이후까지의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이런 과정들은 “문제 및 기회 발견 → 해결방법 고안 → 솔루션 구축 → 고객 테스트”를 목적으로 하게 됩니다. 저는 네이버의 ”클로바 노트”를 중심으로 PD LIfe Cycle이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1. 올바른 기회 찾기 및 계획 회사가 발견한 가장 큰 기회는 무엇이었나요? (1) 회사의 비전과 미션은 무엇인가 "AI for Ev.. 2022. 5. 10.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