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스테이츠37 [W4D4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커리어리 '매일 회고'의 유저 스토리와 Storyboard 오늘은 피그마(Figma)라는 툴 다루는 법을 배웠습니다! 그래서 피그마를 이용해서 실제 와이어프레임을 그려보았어요. 커리어리는 어떤 플로우로 화면을 그려고, 어떤 디스크립션과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지 일종의 역기획이 될 것 같아요. 오늘 와이어프레임을 그려볼 서비스는 '커리어리'입니다. 1. 커리어리, '매일 회고' 기능의 User Story 사용자들은 어떤 태스크(유저가 서비스에서 수행하길 원하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커리어리를 이용하는 것일까요? 제가 생각하기에 "자신의 커리어를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해 커리어리를 이용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커리어리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 '매일 회고' 기능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정신없이 일하다보면 남는게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평생 직장의 개념은 점점 희미해지.. 2022. 6. 3. [W4D3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SSG 닷컴 리뷰 기능 개선안의 요구사항 정의서 오늘은 서비스 기획 산출물에 대해서 공부했습니다. 하지만 역시 개념만으로는 어떻게 써야 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물론 이전에 한 번씩은 써보기는 했지만 제대로 쓰고 있는지 조차 모른채로 일단 써봐서 오늘도 결과가 어떨지 잘 모르겠네요 ㅎㅎ 오늘은 지난번에 사용자 인터뷰를 진행했던 쓱닷컴의 UI/UX를 개선해보려고 해요. 열심히 사용자 인터뷰를 진행해서 인사이트를 뽑았는데 개선안까지 한 번 만들어보고 싶더라구요! 1. 쓱닷컴(SSG 닷컴)의 리뷰 기능 UX 리서치 사용자 인터뷰 내용 품질은 리뷰를 많이 보는 편이에요. 그러면 거기에 보면 대부분 좋다고 올려놔요. 근데 이제 가끔 이제 직설적으로 쓴 사람들이 있고...부정적인 게 그렇게 많지 않으면 그냥 시켜요. Q. 필요한 정보를 얻을 만큼 후기를 봐야 .. 2022. 6. 2. [W4D2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CGV는 어떤 심리학의 법칙을 고려해서 UX를 설계했을까 오늘은 UX 설계시 고려되는 다양한 심리학 법식에 대해서 공부를 했습니다! 배운 내용도 복습하고 적용해볼 겸, 영화 예매를 할 때 즐겨 사용하게 되는 CGV 앱서비스에서는 UI/UX를 설계할 때 어떤 심리학 법칙을 고려하고 있는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1. 피츠의 법칙 어떤 행동을 유발할 떄, 예를 들어서 버튼을 누르거나 할 때, 그 목표 대상이 충분히 크고, 주변에 여백이 있고, 타겟이 적을 수록 더 효율적이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UX 설계할 때도 마찬가지인데요. CGV앱은 대체로 버튼들이 큼직 큼직한 편입니다. 아무래도 콘텐츠를 제공하려는 목적의 이미지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콘텐츠를 제공한다고 해서 너무 과도하게 큰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도 아닙니다. 충분히 다양한 정보를.. 2022. 6. 1. [W4D1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KB국민카드'의 좋은 UX, 아쉬운 UX 전반적으로 UX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어떠한 서비스를 분석할지 고민하다가 최근 자주 사용하게 된 'KB국민카드 ' 의 앱 서비스를 선택해봤습니다. 참고로 저는 지출이 엄청 크거나 다양하지 않은 탓에 사용하는 세부 서비스가 한정적인 편입니다. 그래서 제가 자주 사용하는 "이벤트 페이지"와 "이벤트를 응모하는 프로세스"와 같이 "이벤트"에 한정된 부분에 집중해서 살펴보았습니다. 1. 좋았던 UX [진행 중 이벤트]에서 콘텐츠 열람하고 "뒤로 가기" 하면 봤던 항목까지 스크롤이 자동으로 내려온다 [진행 중 이벤트]페이지의 경우 굉장히 많은 리스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리스트만으로는 어떤 이벤트인지, 내가 응모할 수 있는 이벤트인지 판단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벤트에 응모하고 싶다면 일단 각 항목을.. 2022. 5. 31. '와디즈' 개선점 MVP 기획해보기 [코드스테이츠 PMB 12기] 지난주에는 와디즈에 대해서 요모조모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오늘은 사용자 인터뷰를 하면서 도출했던 Pain Point를 바탕으로 개선안 MVP를 기획해보려 합니다! [서포터 입장] 펀딩을 고려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옵션을 계속 별도로 기억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저는 다음과 같은 Pain Point를 개선해야 하는 최우선 순위라고 분류를 했었습니다. 해당 Pain Point를 개선할 수 있는 솔루션을 고민해서 MVP의 형태로 제안해보고자 합니다. 여기서 MVP란, Minimum Viable Product를 뜻하는 약어로 가장 핵심이 되는 기능만을 담은 최소 단위의 서비스 혹은 프로덕트라고 말할 수 있어요! 저는 옵션을 계속해서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기존에 존재하는 '찜♡' 기능, 와디즈에서 .. 2022. 5. 29. [W3D3&D4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인프런의 KPI, OKR을 설정해본다면? 우리는 성장기회의 평등을 추구합니다. 2021년 4월을 기준으로 2년간 340% 성장, 매출 2년간 870%성장 등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기업이 있습니다. 어디인지 궁금하신가요? IT분야의 커리어 학습을 해나갈 수 있는 온라인 강의 플랫폼, 인프런입니다. 인프런은 2015년부터 생활코딩, 왼손코딩 등 유튜브의 주요 무료 프로그래밍 강의를 체계적으로 수강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코로나 초기인 2020년도 초반에 대학생과 커뮤니티에서 입소문을 타며 접속자와 가입자가 전월 대비 250% 이상 증가했습니다. 오늘은 인프런의 KPI에 대해서 생각해보려 합니다. 아, 여기서 KPI란 Key Performanc Indicator 즉 핵심성과지표를 의미합니다.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2022. 5. 25. [W3D2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그리팅'은 PMF를 찾았는가 반복적인 채용업무, 그리팅에서 쉽고 간단하게 이미 수년 전부터 해외에서는 ATS(Applicants Tracking System) 분야가 활성화되어 있어 채용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지원자를 관리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해왔다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Greenhouse라는 서비스가 있다고 해요.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한 개념이고, 일부 대기업이 자체적으로 개발해서 사용한다고 해도 폐쇄망 기반의 구축형 시스템은 유지 보수나 트렌드에 따른 구조 변경이 어렵죠. 이에 2021년 혜성같이 등장한 SaaS 형태의 ATS 서비스가 등장했습니다. 출시 1년만에 1500개 이상의 고객사를 확보하고 한국현 ATS로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그리팅이 Product Market Fit은 어떻게 찾아가고 있는지, 그리고 결과적.. 2022. 5. 24. [W3D1_코드스테이츠 PMB 12기] BMC로 '카카오 T 퀵' 뜯어보기 오늘은 작년 이맘때쯤 출시된 카카오 모빌리티의 새로운 서비스, 카카오 T 퀵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카카오 T 퀵은 말 그대로 '퀵 서비스'를 중개해주는 서비스입니다. 퀵으로 빠르게 물건을 받아보고 싶은 사용자들에게 퀵 배달 기사들을 연결시켜주는 거죠. 카카오 T 퀵은 기존의 퀵 배송 뿐만 아니라 방문 택배, 중대형 물품 배송까지 그 범위를 넓혀서 진행하고 있어요. 이런 카카오 T 퀵은 어떤 구조를 갖고 있는지 비즈니스 모델을 Business Model Canvas를 바탕으로 분석해보려고 해요. 여기서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BM)이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어떻게 마케팅하며 어떻게 돈을 벌 것인지에 대한 큰 개념이라고 보면 됩니다. 다만 간과해서는.. 2022. 5. 23. [0516-0522 회고 기록] W2 일주일 돌아보기 0516-0522 Week 2 What I did Day1-Day4 필수항목은 밀리지 않고 다 공부 Daily 과제 매주 최소 반 10시 전에는 끝내기! Weekly 과제 프로덕트 선정 후 100% 완료 자소서 1건 완료, 경력기술서 정리 잘했어 필수 내용만 소화하는 것도 은근히 벅차다. 그치만 매일 매일 할당된 양 만큼은 어떻게 해서든 완료해서 뿌듯. 공부한 내용도 간략하게 정리해놓으니까 다시 보고 이해하거나 찾아보기도 수월한 듯. 품이 많이 들긴 하지만 나름 효율적인 것 같다. 점점 과제 완료되는 시간이 늦어지는 부분이 아쉽긴 하지만 그날 그날 마감시간인 12시보다는 여유롭게 제출하니까 그래도 다행이랄까. 뭐든 최대한 완벽하고 내가 할 수 있는 최고의 퀄리티를 뽑아내려고 하는 편인데... 이 과제는 .. 2022. 5. 23. 이전 1 2 3 4 5 다음